부서메뉴 이동

지명유래

장승포동

종래(從來)의 장승포시(長承浦市) 동지역(洞地域)은 신라(新라) 문무왕(文武王) 17年(677) 상군(裳郡)에 속하는 거로현(巨老縣)이었고, 경덕왕(景德王) 16年(757) 거제군(巨濟群)의 속현으로 아주현(鵝洲縣)이라 하고 치소(治所)를 두었으며 아주성(鵝洲城)을 쌓았다. 고려(高麗) 원종(元宗) 12年(1271) 왜구(倭寇)의 침범으로 아주현(鵝州縣)의 인물(人物)은 모두 거창현(居昌縣)에 속하는 가조현(加祚縣)으로 피난갔다가 조선(朝鮮) 세종(世宗) 4年(1422)에 옛터로 돌아왔다.

세종(世宗) 14年(1432) 사등성(沙等城)이 협소하여 고현(古縣)에 거제읍성(巨濟邑城)을 낙성하여 거제현아(巨濟縣衙)를 옮기고 관하에 칠면(七面)을 두었는데 이운면(二運面)이라 칭하고 권농관(勸農官)이 집정(執政)하였다.

성종(成宗) 원년(元年)(1470) 거제현(巨濟縣)에 칠진(七鎭)을 두었는데 옥포진(玉浦鎭)을 두고 만호병정(萬戶兵政)을 하였으며 동왕 19년(同王 19年)(1488) 진성(鎭城)으로 옥포성(玉浦城)을 쌓았는데 1990年 12月 20日 지방기념물(地方紀念物) 제104호(第104號)로 지정(指定)되었다.

선조(宣祖) 25年(1592) 임진왜란(壬辰倭亂)으로 나라가 위기에 있을때 5月 7日 왜선(倭船) 26척(隻)을 격침한 옥포대첩(玉浦大捷)으로 제해권(制海權)과 연승(連勝)의 기틀이 되었으니 승리(勝利), 은혜(恩慧), 역사(歷史), 구국(救國)의 고장이 되었다.

영조(英祖) 45年(1769) 면방리(面坊里) 개편으로 고현면(古縣面) 이운(二運)이라 하고 장승거리(長承巨里), 옥명포(玉鳴浦), 관송(貫松), 당항(堂項), 아주(鵝洲), 옥포(玉浦), 조라포(助羅浦), 해명(海明), 수월(水月), 양정(楊亭)의 10방(坊)을 두었다.

고종(高宗) 26年(1889) 면리제(面里制) 개편으로 고현면(古縣面) 이운(二運)을 이운면(二運面)으로 독립하고 면장(面長)이 집강(執綱)하였으며 제산(제山), 해명(海明), 수양(水陽), 수동(水東), 양정(楊亭), 상아(上鵝), 하아(下鵝), 거로(居老), 관화(官化), 옥명(玉明), 장승(長承), 능포(菱浦), 느태(느台), 두모(杜母), 옥포(玉浦), 조라(助羅), 국산(菊山) 등 17理가 되었다.

고종(高宗) 26年(1889) 11月 12日 한일통어장정(韓日通漁章程)으로 일본어민(日本漁民)이 장승포(長承浦) 항구(港口)에 입주(入住)하자 1910年 한일합방(韓日合邦) 되던 해 234호(戶) 1,893명(名)에 이르러 입좌촌(入佐村)이라 하였다.

고종(高宗) 32年(1895) 5月 26日 칙령(勅令) 제98호(第98號) 면리(面里) 개편으로 장승포(長承浦), 옥명(玉明), 능포(菱浦), 관송(貫松), 우산(牛算), 거로(巨老), 느태(느台), 두모(杜母), 상아(上鵝), 하아(下鵝), 옥포(玉浦), 조라(助羅), 국산(菊山), 제산(猪山), 양정(良井), 해명(海明), 수양(水陽), 수동(水東) 등 18리(里)로 개편하였다. 융희(隆熙) 3年(1909) 6月 25日 칙령(勅令) 제30호(第30號) 면리(面里) 개편으로 외포면(外浦面)이 폐지되어, 덕상(德上), 덕하(德下), 덕포(德浦)를 이운면(二運面)에 편입하였으니 21개리(個里)가 되었다.

1913年 아양(鵝陽)에 처음으로 이운면사무소(二運面事務所)를 두고 면장(面長)이 집무(執務)하였고, 1935年 10月 1日 부령(府令) 제197호(第197號)(1935年 9月 27日 공포:公布) 이운면(二運面)을 장승포읍(長承浦邑)으로 승격(昇格)되어 아양리(鵝陽里)에서 장승포리(長承浦里)로 옮겼다.

1942年 5月 1日 2차대전(2次大戰)의 전시행정(戰時行政)을 위하여 부락구제(部落區制) 실시에 따라 구촌(舊村), 신부동(新富洞), 중앙(中央), 장승(長承), 마전(摩田), 능포(菱浦), 옥명(玉明), 두모(杜母), 느태, 관송(貫松), 당목(堂木), 장기(場基), 탑곡(塔谷), 내곡(來谷), 용소(龍沼), 옥포(玉浦), 조라(助羅), 국산(菊山), 팔랑포(八浪浦), 상덕(上德), 하덕(下德), 수월(水月), 해명(海明), 양정(良井), 제산(猪山) 등 25개(個) 부락(部落)이 되었다

1951年 1月 4日 6.25 사변(事變)의 두번째 서울 후퇴(後退)로 남하(南下)시킨 서울 장정(壯丁) 1만명(萬名)의 제3훈련소(第3訓練所)를 설치(設置)하였고, 이북피난민(以北避難民) 10만명(萬名)을 구호(救護)하는 보건사회부(保建社會部) 거제도분실(巨濟島分室)과 통영군(統營郡) 거제도분소(巨濟島分所), CAC거제도(巨濟島)팀을 창설(創設)하여 전시(戰時)의 후방기지(後方基地)가 되었다.

1953年 1月 1日 법률(法律) 제271호(第271號)(1952年 12月 14日 공포:公布)로 거제군(巨濟郡)이 복군(復郡)되고 1月 22日 대통령령(大統領令) 제 737호(第737號) 거제군(巨濟郡) 위치(位置)의 공포(公布)로 1914年 3月 1日 통영군(統營郡)에 통합(統合)된지 39年만에 장승포읍사무소(長承浦邑事務所)에다 현판(縣板)하고 시무(始務)하였다.

1955年 6月 8日 대통령령(大統領令) 제1032호(第1032號) 공포(公布)로 거제군(巨濟郡) 위치를 일운면(一運面) 고현리(古縣里)로 한다에 위하여 경상남도(慶尙南道)가 청사(廳舍) 신축을 시공하여 다음해 10月 30日 이전(移轉)하였다.

1957年 6月 12日 옥포대승첩기념탑(玉浦大勝捷紀念塔)을 아주(鵝洲) 당등산성(堂嶝山城)에 건립(建立)하고 1963年 6月 27日 옥포정(玉浦亭)의 낙성(樂成)과 제1회(第1回) 옥포대첩기념제전(玉浦大捷紀念祭典)을 거행하였으며, 1973年 10月 11日 옥포조선소(玉浦造船所) 기공(起工)으로 편입(編入)되어 아주성(鵝洲城) 밑으로 옮기고 1996年 6月 22日 옥포(玉浦)의 승치봉(勝峙峯)에 기념탑(紀念塔), 참배단(參拜壇), 옥포루(玉浦樓), 기념관(紀念館) 등 옥포대첩기념공원(玉浦大捷紀念公園)을 준공(竣工)하고 제34회(第34回) 기념제전(紀念祭典)을 통합(統合) 거제시(巨濟市)의 행사(行事)로 성대(盛大)히 거행(擧行)하였다.

1963年 1月 1日 법률(法律) 제1175호(第1175號)(1962年 11月 21日 공포:公布)로 일운면(日運面) 고현출장소(古縣出張所)를 신현면(新縣面)으로 승격함에 따라 수월(水月), 양정리(良井里)가 편입되어 7리(里)에 21개(個) 행정리(行政里)로 되었다.

1973年 10月 11日 옥포조선소(玉浦造船所)의 기공(起工)으로 아양리(鵝陽里)의 관송(貫松), 당목(堂木), 장기(場基)가 조선소(造船所)에 편입되어 이주민(以住民)의 옥수(玉水) 1,2동(洞)이 신설되어 7리(里)에 20개(個) 행정리(行政里)로 되었다.

1986年 12月 1日 군 조례(郡 條例) 제948호(第948號)(1985年 11月 13日 공포:公布) 옥포조선공단(玉浦造船工團)의 조성(造成)에 따른 인구증가(人口增加)로 장승포읍(長承浦邑) 옥포출장소(玉浦出張所)를 설치하여 옥포(玉浦)와 덕포리(德浦里)를 관할하였다. 1987年 1月 1日 대통령령(大統領令) 제12007호(第12007號)(1986年 12月 23日 공포:公布로 일운면(一運面) 옥림리(玉林里) 중촌(中村) 1,2동(洞)(0.12㎢)을 장승포리(長承浦里)에 편입하고 대림(大林) 1,2동(洞)이라 하였다.

1987年 1月 21日 군 조례(郡 條例) 제959호(第959號)(1987年 1月 8日 공포:公布)로 거제군(巨濟郡) 장승포(長承浦) 직할출장소(直轄出張所)를 설치하였다.

1989年 1月 1日 법률(法律) 제4050호(第4050號)(1988年 12月 31日 공포:公布)로 장승포읍(長承浦邑)을 시(市)로 승격하여 옛 거제중학교(巨濟中學校)에 개청하고 관하에 장승포(長承浦), 마전(麻田), 능2동(玉浦 2洞) 등 6개(個) 71통(統)을 설치하였다.

1995年 1月 1日 법률(法律) 제477호(第477號)(1994年 8月 3日 공포:公布)로 도농복합형태(都農複合形態)의 시(市) 설치(設置)에 따라 장승포시(長承浦市)와 거제군(巨濟郡)을 통합하여 거제시(巨濟市)가 되었으며 장승포(長承浦)에 거제시(巨濟市) 민원출장소(民願出張所)를 두었다.

이운면(二運面) 거제도(巨濟島)를 서북 고현만(古縣灣)의 제산(猪山)에서 동남 옥포만(玉浦灣)의 능포(菱浦)를 길게 양분(兩分)하였으니 일운면(一運面)과 같이 이운(二運)이라 하였고, 본래의 장승거리(長承巨里)였던 장승포리(長承浦里)에 읍사무소(邑事武所)를 이전(移轉)함에 따라 장승포읍(長承浦邑)으로 개칭하였다.

구촌(舊村)마을

장승포항의 입구에 위치하여 갯마을이며 제주도 해녀가 입주한 곳으로 장승포리의 1구였다

신부동(新富洞)마을

구촌마을 위에 고종 26년(1889년)11월21일 韓日通漁章程으로 일본어민이 입주하여 입좌촌(入佐村)이라 하고 우편소와 시장이 형성되었고 1930년 방파제를 축조하여 장승포리 2구라 하였는데 광복 후 신부동이라 하였다.

중앙(中央)마을

장승포리의 5구 중 3구라 하였으니 중앙이라는 뜻이고 초,중학교가 있으며 1953년 5월 27일 거제군청과 교육청의 소재지로 중앙이라 하였다.

장승(長承)마을

본래 두모고개 장승거리 밑으로 장승포리 4구였는데 장승거리의 뜻으로 장승마을 이라 하였다

두모(杜母)마을

옥포만의 남쪽 바닷가에 위치하여 장승거리에서 내려가면 땅끝이 막다르므로 두무(杜母)실이라 하였는데 무가 모(母)로 바뀌어 두모개 또는 두모실, 두몰이라 하였다.

마전(麻田)(삼밭)마을

밭에 삼을 많이 심었다고 삼밭이라 한다. 삼밭을 한문으로 옮기면서 삼 마(麻)자에 밭 전(田 )자를 따서 마전이라 한다.

담당부서

  • 장승포동   

최종수정일 : 2020-02-0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