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고려(高麗) 현종(顯宗) 3年(1012) 특수행정(特殊行政)의 공동체(共同體)인 부곡제도(部曲制度)에 따라 하청(河淸), 장목지역(長目地域)의 하청부곡(河淸部曲)을 두고 칠천도(七川島)에 목장(牧場)을 두었다.
원종(元宗) 12年(1271) 왜구(倭寇)의 침범으로 하청(河淸), 죽토(竹吐), 고정부곡(古丁部曲)의 인물(人物)은 모두 거창현(居昌縣)에 속하는 가조현(加祚縣)으로 피난갔다가 세종(世종2) 4年(1422) 옛터로 돌아왔다.
세종(世宗) 14年(1432) 거제현(巨濟縣)을 사등(沙等)에서 고현(古縣)으로 옮기고 관하에 칠면(七面)을 두었는데 하청면(河淸面)이라하고 권농관(勸農官)이 집정(執政)하였다.
선조(宣祖) 25年(1592) 5月 12日 고현성(古縣城)을 점령한 왜병(倭兵)들이 하청(河淸)장터에서 진을 두고 약탈하므로 거제의병(巨濟義兵)들이 야습(夜襲)하여 대승(大勝)하니 이를 하청(河淸)장터의 설욕전(雪辱戰)이라 하였다.
선조(宣祖) 30年(1597) 정유재란(丁酉再亂)때 7月 14日~16日 칠천량(漆川梁) 물안해역(勿安海域)에서 패전(敗戰)하였다.
영조(英祖)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으로 저도(猪島), 황포(黃浦), 유포(柳浦), 구영등(舊永登), 농소포(農所浦), 저포(這浦), 장목(長木), 구율포(舊栗浦), 대금산(大今山), 시방(矢方)과 칠천도(漆川島), 사외포(絲外浦), 사곶(巳串), 내가이(內加耳), 외가이(外加耳), 하청(河淸) 등 16방(坊)을 두었다.
고종(高宗) 26年(1889) 리제(里制) 개편으로 하청(河淸)에 석포(石浦), 덕곡(德谷), 해안(海晏), 외가(外加), 하청(河淸), 하구(河龜), 실전(實田), 장곶(長串), 욋포(욋浦), 어온(於溫), 대곡(大谷), 송포(松浦), 연구(蓮龜) 등 13리를 두었다.
고종(高宗) 32年(1895) 5月 26日 칙령 제98호(勅令 第98號) 면리(面里) 개편으로 외포면(外浦面)을 두고 하청면(河淸面)의 율천(栗川), 율리(栗里), 대금(大錦), 시방(矢方)과 연초면(延草面)의 외포(外浦), 이물도(利勿島), 덕상(德上), 덕하(德下), 덕포(德浦)를 관할(管轄)하였으며, 하청면(河淸面)은 하청(河淸), 유계(柳溪), 외상(外上), 덕곡(德谷), 해안(海晏), 사환(巳還), 실전(實田), 석포(石浦), 장곶(長串), 어온(於溫), 욋포(욋浦), 연구(蓮龜), 송포(松浦), 대곡(大谷)과 두모(頭毛), 관포(冠浦), 신촌(新村), 궁농(宮農), 농소(農所), 상유(上柳), 하유(下柳), 구영(舊永), 황포(黃浦), 장목(長木) 등 24리가 되었다.
융희(隆熙) 3年(1909) 6月 25日 칙령 제30호(勅令 第30號) 면(面) 개편으로 외포면(外浦面)을 폐지하고 장목면(長木面)을 신설하여 외포면(外浦面)의 덕상(德上), 덕하(德下), 덕포(德浦)는 이운면(二運面)에 편입(編入)시키고 율천(栗川), 율리(栗里), 대금(大錦), 시방(矢方), 이물도(利勿島), 외포(外浦)와 하청면(河淸面)의 장목(長木), 관포(冠浦), 두모(頭毛), 송진(松眞), 황포(黃浦), 구영(舊永), 상유(上柳), 하유(下柳), 저도(猪島), 농소(農所), 궁농(宮農) 등 17리를 관할하였다.
1915年 6月 1日 도령 제20호 법정동리령(道令 第20號 法定洞里令)에 의하여 석포(石浦), 덕곡(德谷), 유계(柳溪), 하청(河淸), 실전(實田), 어온(於溫), 대곡(大谷), 연구(蓮龜) 등 8리로 통합되었다.
1942年 5月 1日 2차대전(二次大戰)때 부락구제(部落區制) 실시로 석포(石浦), 덕곡(德谷), 해안(海晏), 서항(西項), 서대(西大), 서상(西上), 동리(東里), 서리(西里), 중리(中里), 창동(倉洞), 성동(城洞), 사환(巳還), 와항(瓦項), 실전(實田)과 장곶(長串), 어온(於溫), 물안(勿安), 대곡(大谷), 송포(松浦), 황덕(黃德), 연구(蓮龜), 곡촌(谷村), 금곡(琴谷), 옥계 등 24개(個) 부락(部落)이 되었으며 광복후(光復後) 신동(新洞), 신창(新倉)이 분리되어 26개(個) 행정리(行政里)가 되었다.
1977年 7月 1日 군조례 제412호(1977年 6月 15日 공포(公布):郡條例 第412號)로 하청면 칠천출장소(河淸面 七川出張所)를 설치하여 어온(於溫), 대곡(大谷), 연구(蓮龜) 등 3리의 장곶(長串), 물안(勿安), 대곡(大谷), 송포(松浦), 황덕(黃德), 연구(蓮龜), 곡촌(谷村), 금곡(琴谷), 옥계 등 10개(個) 행정리(行政里)를 관할하였다. 하청면(河淸面)은 서북쪽 칠천도(漆川島)가 가로막아 어두운 호수(湖水)같은 바다였으나 옛날 해안면(海晏面)이었다는 구전(口傳)에 따라 보름달이 고요한 바다 호수(湖水)에 반사되어 하늘과 땅이 밝으니 하청(河淸)이라 하였으며 칠천도(七川島)라 개칭하였다.
영조(英祖) 45年(1769) 내가이방(內加耳坊)에 속하였으며 고종(高宗) 26年(1889) 석포리(石浦里)가 되어 오늘에 이르고 앵산(鶯山)밑 서쪽에 위치하여 지형이 가파르고 돌이 많은 갯마을이라 석포(石浦) 또는 돌개라 하였다.
영조(英祖)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으로 내가이방(內加耳坊)이라 하였는데 고종(高宗) 26年(1889) 덕곡(德谷)과 해안리(海晏里)로 분리 개칭하였으며 1915年 6月 1日 덕곡리(德谷里)로 통합하여 법정(法定)되어 1942年 5月 1日 부락구제(部落區制)로 덕곡(德谷)과 해안(海晏)의 2구(區)가 되어 1961年 10月 1日 행정리(行政里)로 되었다.
영조(英祖)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으로 외가이방(外加耳坊)에 속하였는데 고종(高宗) 32年(1895) 유계(柳溪)와 외상리(外上里)로 개칭 분리되었는데 1915年 6月 1日 부락구제(部落區制)로 서항(西項), 서대(西大), 서상(西上), 동리(東里)의 4구(區)가 되어 1961년 10월 1일 행정리(行政里)로 되었다.
高麗 顯宗(고려 현종) 3년(1012) 하청부곡을 두었는데 조선세종 14년(1432) 하청면을 두었고 영조 45년(1769) 坊里개편으로 하청방이었으며, 고종26년(1889) 하청과 하구리로 나뉘었다가 동32년(1895) 다시 하청리에 합치고 1915년 6월 1 일 법정리가 되었으며 1942년 5월 1일 부락구제로 서리,중리,창동,성동,의 4구였다가 1961년 10월1일 행정리가 되고 그후 신동과 신창이 신설되어 6개 행정리가 되었다.
영조(英祖)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으로 사외포방(絲外浦坊)이라 하였는데 고종(高宗) 26年(1889) 실전리(實田里)로 고쳤고 동(同) 32年(1895) 실전(實田)과 사환리(巳還里)로 나뉘어 졌다가 1915年 6月 1日 실전리(實田里)로 법정(法定)하였으며 1942年 5月 1日 부락구제(部落區制)로 실전(實田), 와항(瓦項), 사환(巳還)의 3구(區)가 되어 1961年 10月 1日 행정리(行政里)가 되었다.
영조(英祖)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으로 칠천도방(漆川島坊)에 속하였으며 고종(高宗) 26年(1889) 어온(於溫)과 장곶리(長串里)로 되어 1915년 6월 1일 어온리(於溫里)로 통합하여 법정리(法定里)가 되었으며 1942년 5월 1일 부락구제(部落區制)로 어온(於溫), 장곶(長串), 물안(勿安)의 3구(區)가 되어 1961년 10월 1일 행정리(行政里)로 되었다.
영조(英祖)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때 칠천도방(漆川島坊)에 속하였으며 고종(高宗) 26年(1889) 대곡(大谷)과 송포리(松浦里)로 분리되었는데 1915年 6月 1日 도령 제20호 법정동리령(道令 第20號 法定洞里令)으로 대곡리(大谷里)가 되었으며 1942年 5月 1日 부락구제(部落區制)로 대곡(大谷), 송포(松浦), 황덕(黃德)의 3구(區)가 되었고 1961年 10月 1日 행정리(行政理)로 되었다.
영조(英祖)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으로 칠천도방(漆川島坊)에 속하였는데 고종(高宗) 26年(1889) 연구(蓮龜)와 욋포리(욋浦里)로 나뉘어졌다가 1915년 6월 1일 연구리(蓮龜里)로 법정(法定) 통합되었으며 1942년 5월 1일 부락구제(部落區制)로 연구(蓮龜), 곡촌(谷村), 금곡(琴谷), 옥계(玉계)로 4구가 되어 1961년 10월 1일 행정리(行政里)가 되었다.
담당부서
최종수정일 : 2019-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