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목면 시방리

장목면 시방리

  • 영조(英祖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으로 하청면(河淸面) 시방방(矢方坊)과 연초면(延草面) 이물도방(利勿島坊)이었는데 고종(高宗) 26年(1889) 시방리(矢方里)에 통합되었으며 동(同) 32年(1895) 5月 26日 칙령(勅令) 제98호(第98號) 외포면(外浦面)설치에 따라 시방(矢方)과 이물도리(利勿島里)로 분리되고 융희(隆熙) 3年(1909) 6月 25日 칙령 제30호 외포면(勅令 第30號 外浦面) 폐지와 장목면(長木面) 설치로 속하였으며 1915年 6月 1日 도령 제20호(道令 第20號)로 시방리(矢方里)로 법정(法定)되었고 1942年 5月 1日 부락구제 (部落區制)로 시방(矢方), 이수(利水), 흥남(興南)의 3구를 1961年 10月 1日 거제군조례 제4호(巨濟郡條例 第4號)로 행정리(行政里)가 되었다.
시방(矢方)마을

시방(矢方)의 포구와 해변의 모양이 활처럼 휘어져 남동쪽 등성이에 이수도(利水島)를 향하여 활을 쏘는 형국이라 시방(矢方)이라 하였으며 본래 살방이라 하고 이물도(利物島)를 학(鶴)섬이라하여 활을 피하기 위하여 방시순석(防矢循石)을 세웠는데 시방(矢方)에서는 방시만노석(防矢萬弩石)을 세워 학섬을 노렸는데 다시 학섬에는 방시만노순석(防矢萬弩循石)을 세워 서로 대결하였으나 충돌없이 비석만 보존하고 있다.

이수(利水)마을

본래 이물섬, 이물도(利勿島) 그리고 시방(矢方)을 향하여 날아갈 형국이라 학섬이라 하였는데 우리나라 대구어(大口魚)의 산란해역(産卵海域)으로 일본인의 입어로 멸치잡이 권현망(權現網)이 들어와 부동(富洞)이 되자 바닷물이 이로와 이수(利水)로 바꾸었다.

흥남(興南)마을

흥남은 본래 시방리(矢方里)에 속하는 돌정이, 돌징개 또는 돌정으로 부르던 갯마을이고 농토는 적어 일제때 함경도 청진(咸鏡道 淸津) 고등어배를 탔던 어로장(漁撈長) 일명 망장이가 흥남(興南) 앞바다에서 정어리를 많이 잡아 부자(富者)가 되었고 같은 어부들도 잘 살게 되자 흥남(興南)마을이라 하였다.

갈대밭골

시방 서남쪽 산골 동쪽에 갈대가 많은 골짜기다.

갓옆바위

시방 북서쪽의 절골 서쪽 상금산 밑에 있는 바위다.

개마자리골

이물섬 북서쪽에 움푹 들어간 골짜기다.

고마등대이물섬

높은 곳에 밭을 개간하여 농사를 지으며 꼭대기 높은 77.8m에 삼각점이 있다.

곤배등

이물섬 동쪽에 곰배팔 당그래 모양의 등성이다.

깔밭구미끝

시방 동남쪽 돌찡이, 동북쪽의 산 끝이다.

납자조 어장

이물섬 동북쪽 듬봉조 남쪽의 정치망 어장으로 옛날 갈치를 많이 잡아 진상하였다.

낭 끝

이물섬 동쪽 꼬리부분의 낭떠러지 끝이다.

논 개

이물섬 동쪽에 논이 있는 개이다.

돌새미

흥남의 한복판 골짜기에 돌바위 틈에서 샘물이 나오는데 맛이 좋아 석정(石井) 또는 돌징이라 한다.

돌찡이재

시방에서 돌징개로 넘어가는 고개로 지금은 지방도가 개설되었다.

듬봉조 진펄

이수도 동북쪽에 둠벙이 있고 진창으로 된 벌이 있다.

듬불개

이수도 남서쪽 해변에 있는 개이다.

마주배기개

이수도 북쪽 막바지에 있는 개이다.

머드랑개

흥남해변의 몽돌밭에 해수욕장의 개이다.

버들골

흥남 뒤쪽의 골짜기다.

봉산등

시방 서북쪽 등성이에서 옛날 봉화를 올렸다.

산 골

시방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다.

산짓바위

서나무실 남동쪽 중허리에 산신제를 지내던 바위다.

살방모퉁이끝

시방 어귀 바닷가 모퉁이 끝이다.

옻나무골

시방 북쪽에 옻나무가 많은 골짜기가 있다.

절 골

시방 북서쪽에 절이 있었다는 골짜기다.

정월끝산

시방 동북쪽 산밑에 선창이 있었던 산끝이다.

찬물다래개이물섬

북쪽 끝의 개이다.

큰 여

흥남 돌찡이 동쪽바다에 암초가 있다.

큰골개

이물섬 북서쪽 큰골짜기의 갯가이다.

홈택골

시방 서쪽에 홈통을 걸어서 논물을 대던 골짜기다.

흰여섬

이물섬 동쪽에 갈매기가 쉬는 돌섬으로 똥이 말라 희게 보이는 섬이다.

흰돌바위

흥남 돌찡이 남쪽에 흰색의 바위가 있다.

담당부서

  • 문화관광국 문화예술과  

최종수정일 : 2020-11-1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방문자 통계